본문으로 바로가기

탄소중립

탄소중립

안내문구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도'는 탄소중립기본법 제 24조에 따라 예산과 기금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운용에 반영하기 위해 실시하는 제도입니다.
본 내용은 '2023년도 온실가스 감축인지 기금운용계획서' 로 확정안과 내용이 다소 상이할 수 있습니다.

2023년도 온실가스 감축인지 기금운용계획서 다운로드

전체 기본계획 보기

대분류
소분류
온실가스관리 인프라구축
  • 사업기간 2006년~계속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
  • 운영기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환경공단
  • 사업목적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기반 구축 및 역량강화

기후변화대응 거버넌스 구축
  • 총 사업비 1,200,000,000원
  • 사업목적 2030 NDC 상향(‘21.10월) 및 탄소중립기본법 시행(’22.3월)에 따라탄소중립을 향한 현실성 있는 이행로드맵(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매년 이행 점검‧환류체계 구축
  • 사업내용 국가 온실가스 감축 이행로드맵(국가 기본계획)에 따른 매년 감축실적 이행점검 및 환류
  • 유형분류 국제감축

온실가스 통계구축
  • 총 사업비 2,846,000,000원
  • 사업목적 폐기물분야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인벤토리 보고서 작성의정확성 제고(노후 측정망 교체 등) 및 위성·측정망 통해 관측자료를 활용,
    통계의 정확성과 시의성을 높이고, 지자체별로 세분화된 온실가스 정보 제공
  • 사업내용
  • 유형분류 국제감축

폐기물부분 국가 배출통계 개선
  • 사업내용 기본계수(Tier 1) 사용으로 일부 과다 산정된 폐기물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을 현장측정을 통한 국가실정에 맞는 국가 고유 배출계수(Tier 2) 개발로 신뢰성있 는 배출량 산정체계 구축
온실가스 측정기반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사업내용 정확도 높은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 제공을 통해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사업, 탄소 중립 기본계획 마련 등에 기초자료로 제공
온실가스 감축기반 구축
  • 총 사업비 148,231,000,000원
  • 사업목적 배출권거래제 관련 위원회 운영, 할당대상업체 지정 및 할당‧ 조정‧취소, 할당대상업체 감축설비 지원, 배출량 모니터링 계획 타당성 검토 및 적합성 평가 등의 제도운영 전반
  • 사업내용 배출권거래제 감축기반 구축, 온실가스 감축 통합지원(탄소중립 컨설팅, 탄소중립설비 지원 등), 기후변화대응 정책기반 마련(냉매 및 불소계 관리‧처리기반 구축)
  • 유형분류 산업

저탄소 청정연료 전환
  • 사업내용
온실가스 감축설비 지원
  • 사업내용
냉매 관리·처리 기반구축
  • 사업내용
온실가스·에너지 목표 관리제
  • 총 사업비 8,983,000,000원
  • 사업목적 배출권거래제 적용 대상 규모 미만의 중소규모 배출업체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제도(지자체 포함) 운영 및 지원
  • 사업내용 사업장부문 목표관리제 총괄 운영(목표관리업체 온실가스 감축 지원) 사업장 목표관리제 관리업체 대상 온실가스 감축설비 도입비용의 일부를
    국비지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의 자발적・효율적 목표달성 유도
  • 유형분류 산업

기후변화 일반경비
  • 총 사업비 395,000,000원
  • 사업목적 배출권거래제 운영 관련 상용임금, 일반수용비, 사업추진비 등
  • 사업내용
  • 유형분류 산업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 사업기간 2020년~계속
  • 총 사업비 90,900,000,000원
  • 주관기관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 녹색전환정책관
  • 운영기관 한국환경공단
  • 사업목적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큰 중소·중견 제조업 공장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감소, 자원·에너지사용저감등종합적인환경개선지원, 2030 NDC 40% 목표 달성에 기여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 사업기간 2023년~계속
  • 총 사업비 10,350,000,000원
  • 주관기관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
  • 운영기관 한국환경공단
  • 사업목적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환경분야에 대한 국외 온실가스 감축실적 확보

바이오가스 활용 청정수소 생산시설 설치사업
  • 사업기간 2023년~2025년
  • 총 사업비 1,000,000,000원
  • 주관기관 환경부 물환경정책관
  • 운영기관 지자체
  • 사업목적 유기성 폐자원을 통해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청정수소 생산체계 구축

공공환경시설 탄소중립 지원
  • 사업기간 2009년~계속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
  • 운영기관
  • 사업목적 공공부문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선도적 역할을 하기 위해 환경기초 시설,
    지자체 및 환경부 건물 등 공공환경시설에 대해 온실가스 감축사업 지원

환경기초시설 탄소중립프로그램 추진
  • 총 사업비 19,049,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환경기초시설 내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설치하여 화석연료 사용 저감 및 온실가스 감축
  • 유형분류 폐기물

환경기초시설 탄소중립 프로그램 지원
  • 총 사업비 5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폐기물

공공부문 탄소중립 모델 발굴지원
  • 총 사업비 44,818,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국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공공부문에서 탄소중립 조기 달성 및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공공부문 탄소중립 모델 발굴 및 지자체,
    환경부 소유 건물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지원
  • 유형분류 폐기물

도시생태축복원사업
  • 사업기간 2020년 ~ 계속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자연보전국 자연생태정책과
  • 운영기관
  • 사업목적 도시의 단절·훼손된 지역에 수목 식재 등을 통한 생태적 공간 조성으로도시생태축을 연결·복원하여,
    도시 내 온도저감, 탄소흡수량 증진 등 기후 변화 완화 기여

도시생태축복원사업
  • 총 사업비 17,62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훼손된 토지에 수목 식재 등을 통한 녹지조성으로 복원토양의 탄소 저장량이 매년 일정규모 이상 증가하고
    수목에 의한 탄소흡수량 확대로 온실가스 감축 기여
  • 유형분류 흡수원

국가탄소흡수원관리기반구축
  • 총 사업비 3,50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흡수원

자연기반해법(NbS)사업의탄소흡수량평가
  • 총 사업비 50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흡수원

국립공원 탄소흡수원 구축
  • 사업기간 2022년 ~ 계속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자연보전국 자연공원과
  • 운영기관
  • 사업목적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국가 탄소저장고로서의 국립공원 역할이 증대 됨에 따라, 자연 숲·갯벌 등 국립공원 자연생태계 복원을 통한 탄소흡수원 구축

탄소흡수원구축(육상)
  • 총 사업비 3,85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22년 기구축한 국립공원 탄소흡수원인 자연숲 100ha에 대한 복원관리 등
  • 유형분류 흡수원

탄소흡수원구축(해양)
  • 총 사업비 1,08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23년 해양탄소흡수원(해초지, 염습지) 23ha 식재·복원
  • 유형분류 흡수원

습지보전관리
  • 사업기간 1999년 ~ 계속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자연보전국 자연생태정책과
  • 운영기관
  • 사업목적 생물다양성이 풍부하거나 경관이 우수한 습지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개발행위 제한, 훼손지 복원 등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탄소흡수
    기능을 유지‧증진시킴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

습지보호지역모니터링
  • 총 사업비 55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흡수원

습지보호지역지정및관리
  • 총 사업비 2,168,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습지보호지역 지정하여 인위적 관리를 통한 탄소흡수기능 증대
  • 유형분류 흡수원

습지보호지역사유지매입
  • 총 사업비 19,383,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습지보호지역 중 사유지(전, 답 등)를 매입하여 습지로의 자연복원 등을 통한 탄소흡수기능 증대
  • 유형분류 흡수원

습지보호지역훼손지복원및보전이용시설설치
  • 총 사업비 8,947,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습지보호지역 중 전, 답 등 훼손지를 인위적으로 습지로 복원함으로써 탄소흡수기능 증대
  • 유형분류 흡수원

대외인식증진및대외협력
  • 총 사업비 576,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흡수원

녹색혁신기업 성장지원
  • 사업기간 2020년 ~ 2024년
  • 총 사업비 22,500,000,000원
  • 주관기관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 녹색전환정책관
  • 운영기관
  • 사업목적 우수 환경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통해 탄소중립 실현을 선도하는 대표 유망기업 육성 및 국내·외 녹색산업 경쟁력 확보

미래환경산업투자펀드
  • 사업기간 2022년 ~ 계속
  • 총 사업비 45,000,000,000원
  • 주관기관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 녹색전환정책관
  • 운영기관
  • 사업목적 민관 합동 펀드를 조성하여 성장잠재력이 있는녹색산업 영위 중소·벤처기업에 투자

녹색정책금융활성화
  • 사업기간 2022년 ~ 계속
  • 총 사업비 24,250,000,000원
  • 주관기관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 녹색전환정책관
  • 운영기관
  • 사업목적 산업·공정변경 등을 통한 탄소중립 체제로의 전환에 필요한 자금의 원활한 확보를 위해 산업은행 등 금융기관의 이자 비용 지원

친환경설비투자
  • 사업기간 2022년 ~ 계속
  • 총 사업비 100,000,000원
  • 주관기관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 녹색전환정책관
  • 운영기관
  • 사업목적 탄소중립을 위하여 중소·중견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설비 교체 등에 필요한 자금을 장기·저리로 용자 지원

자원순환클러스터 조성
  • 사업기간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자원순환국
  • 운영기관
  • 사업목적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클러스터 구축
  • 총 사업비 16,572,000,000원
  • 사업목적 전기차 폐배터리는 재사용·재활용 부가가치가 높기 때문에 신산업으로 육성·지원할 공공 인프라로써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폐배터리의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실증사업, R&D, 교육·홍보 등 전후방산업을 지원
  • 사업내용 전기차 폐배터리는 재사용·재활용 부가가치가 높기 때문에 신산업으로 육성·지원할 공공 인프라로써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폐배터리의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실증사업, R&D, 교육·홍보 등 전후방산업을 지원하여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의 전후방산업 경쟁력 강화 및 순환경제 기반 구축에 기여
  • 유형분류 폐기물

Post-플라스틱 자원순환 클러스터 구축
  • 총 사업비 18,917,000,000원
  • 사업목적 - 현재 산발적 영세업체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탈피하여 ①재활용 산업의 효율화 및 집적화,
    ②관련 R&D, 실증화 촉진으로 환경산업 육성- 수거-선별-재활용 등 관련 全 단계 기업 입지 확보, 실증화(선별·재활용 관련 Pilot등) 및 R&D 시설 등 조성
  • 사업내용 국가 및 지자체와 협력하여 재활용 산업육성 및 기술개발 촉진 등을 위한 실증·실험시설, 사업자 등 전과정을 지원하는 폐플라스틱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자원순환산업을 집중육성하고 탈플라스틱 대책에 기여
  • 유형분류 폐기물

제주 자원순환 클러스터 조성사업
  • 총 사업비 1,643,000,000원
  • 사업목적 제주도외 유상반출 처리 중인 폐플라스틱·비닐, 미래폐자원(배터리, 태양광 패널)을 도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재활용 산업기반 마련
  • 사업내용
  • 유형분류 폐기물

투명페트병 재활용 시설
  • 사업내용 제주도내 발생 투명 페트병을 전량 회수하여 페트병 고품질 재생원료의 재활용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기여
폐플라스틱 열분해 및 수소생산 시설
  • 사업내용 플라스틱 화화적 재활용을 위한 폐플라스틱 열분해 및 수소생산 산업으로 온실가스 감축 기여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재활용 시설
  • 사업내용 교체대상 폐배터리 재활용과 재사용 방식으로 재활용 연구 및 실증 생산을 시설 및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한 응용제품 개발 등으로 온실가스 감축 기여
태양광 패널 재활용시설
  • 사업내용 급격한 증가가 예상되는 태양광 폐패널의 단순폐기가 아닌 모듈 불량상태 유형에 따른 복원/폐기 및 폐패널 처리로 온실가스 감축 기여
소각재 재활용 시설
  • 사업내용 매립되고 있는 소각재 재활용으로 매립률 1% 이하 달성 및 온실가스 감축기여
재생에너지 그린수소 전환사업
  • 사업기간 2022년 ~ 계속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 한국수자원공사
  • 운영기관
  • 사업목적 환경부 환경기초시설의 소수력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체계 구축

충주2수력
  • 총 사업비 9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수소충전소 설치를 통해 친환경 자동차(수소자동차)를 확대 도입함에 따라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내연기관 자동차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는 사업
  • 유형분류 전환

밀양소수력
  • 총 사업비 17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수소충전소 설치를 통해 친환경 자동차(수소자동차)를 확대 도입함에 따라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내연기관 자동차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는 사업
  • 유형분류 전환

성남정수장
  • 총 사업비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탄소저장물 생산 지원
  • 사업기간 2022년 ~ 계속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
  • 운영기관
  • 사업목적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댐 부유쓰레기를 활용하여 탄소흡수원인 바이오차 생산

댐부유쓰레기를활용한바이오차생산
  • 총 사업비
  • 사업목적
  • 사업내용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댐 부유쓰레기를 활용하여 탄소흡수원인 바이오차를 생산하고 주변 농가에 토양개량제로 제공함으로써 농업생산성도 증대
  • 유형분류 흡수원

기후변화적응 및 국민실천
  • 사업기간 2006년 ~ 계속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
  • 운영기관
  • 사업목적 지자체 탄소중립 이행기반 구축 및 역량 제고, 탄소중립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온실가스 감축 활동으로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달성(‘18년 대비’ 30년까지 40%감축)

기후위기적응대책추진
  • 총 사업비 4,765,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모두가 함께하는 기후적응 추진

기후변화취약계층·지역 지원사업
  • 총 사업비 1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모두가 함께하는 기후적응 추진

지자체 탄소중립 지원사업
  • 총 사업비 12,981,000,000원
  • 사업목적 폭염·한파·폭설 등 이상기후로 인한 위험요소를 최소화하고, 기후변화 위험요인을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기후변화 적응대책 추진하는 동시에,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하여 비산업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과 저탄소 생활 주체인 지자체, 국민의 기후변화 능력 배양사업 전개하고자 함.
    특히, 지자체 탄소중립 지원사업은 2050 탄소중립 실현 주체인 지자체의 주도성‧자율성 제고를 위해 국가 차원의 지자체 탄소중립 이행기반 구축과 역량제고 등을 지원
  • 사업내용 2050 탄소중립 실현의 주체인 지자체의 주도성·자율성 제고를 위해 국가 차원의 지원을 확대하여 지자체 탄소중립 이행기반 구축 및 역량 제고
    (지자체 탄소중립 기본계획 및 기본조례 수립, 탄소중립 지원센터 운영 지원, 탄소중립 이행 확산을 위한 홍보 추진 등)
  • 유형분류 국제감축

비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 총 사업비 8,400,000,000원
  • 사업목적 비산업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온실가스 진단 컨설팅, 기후변화센터 지원, 온실가스 줄이기 및 저탄소 생활실천 민간단체 지원, 기업 및 시민단체 등 연계 탄소중립 실천 사업, 지역공동체 탄소중립 생활 지원사업 추진
  • 사업내용
  • 유형분류 국제감축

비산업부문 온실가스 진단·컨설팅
  • 사업내용 지자체에서 가정‧상가 등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줄이기 컨설팅, 저탄소생활 홍보, 교육 등을 추진하도록 지원
기후변화교육센터 지원
  • 사업내용 기후변화, 탄소중립 인식 제고 및 온실가스 진단 줄이기 실천 확산을 위해 지자체 기후변화교육센터 운영 지원
온실가스 줄이기 및 저탄소 생활실천 민간단체 지원
  • 사업내용 온실가스 진단‧컨설턴트 양성 및 관리시스템 운영 등 추진하고, 기후변화 대응 민간단체 지원 공모사업 추진
기업 및 시민단체 등 연계 탄소중립 실천 사업 발굴 운영 및 확산 지원
  • 사업내용 주택관리 업계 연계 공동주택 생활 개선사업, 유통업계 연계 친환경 소비 생활 개선사업, 기업 및 시민단체 등 탄소중립 실천문화 확산 추진
지역공동체 탄소중립 생활 지원사업
  • 사업내용
온실가스 줄이기 홍보
  • 총 사업비 1,700,000,000원
  • 사업목적 대국민 대상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저탄소생활 홍보콘텐츠 제작‧홍보, 공모전 및 기후변화 주간 행사를 운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국제감축

탄소중립 범국민 실천운동 추진사업
  • 총 사업비 1,300,000,000원
  • 사업목적 미래세대 기후행동 모바일엡 고도화 및 운영사업, 탄소중립 홍보포털 기능개선 및 운영, 기후행동 실천 웹사이트 구축‧운영, 탄소중힙 청년 서포터즈 운영사업 추진
  • 사업내용
  • 유형분류 국제감축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도 운영
  • 총 사업비 1,700,000,000원
  • 사업목적 「국가재정법」에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결산제도 신설·시행 예정(’22.1.1)에 따라 제도 운영 기반 구축
  • 사업내용
  • 유형분류 국제감축

탄소중립에듀센터
  • 총 사업비 2,00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국제감축

탄소중립 체험 인프라 구축
  • 총 사업비 2,500,000,000원
  • 사업목적 탄소중립 체험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존 기후변화 체험 교육관 시설을 개선
  • 사업내용
  • 유형분류 국제감축

경상경비
  • 총 사업비 19,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국제감축

상용임금
  • 총 사업비 182,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국제감축

탄소중립 그린도시
  • 사업기간 2022년 ~ 계속
  • 총 사업비 2,400,000,000원
  • 주관기관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 지자체
  • 운영기관
  • 사업목적 지역 온실가스 배출현황 진단·분석을 토대로 탄소중립 환경사업 등을 지역여건에 맞게 패키지화·집적화한 맞춤형 탄소중립 지원사업

환경교육강화
  • 사업기간 2022년 ~ 계속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
  • 운영기관
  • 사업목적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미래세대에게 탄소중립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행동하는 환경소양을 갖추도록 기후·환경교육을 추진

탄소중립교육프로그램개발
  • 총 사업비
  • 사업목적
  • 사업내용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 관련 교육 교재, 교사지도서, 교육용 교구ㆍ콘텐츠 개발 및 보급으로 탄소중립 문화 형성
  • 유형분류 국제감축

헬프데스크운영
  • 총 사업비
  • 사업목적
  • 사업내용 탄소중립 중점·시범학교 교육운영계획, 탄소 감축시설 컨설팅 및 교육프로그램보급 등 학교 내 탄소중립 실현 기반 마련
  • 유형분류 국제감축

친환경 소비생활 및 저탄소 생산기반 구축지원
  • 사업기간 2018년 ~ 계속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
  • 운영기관
  • 사업목적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30년까지 ’18년대비 40%감축)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비산업부문의 온실가스 감축활동 추진

탄소포인트제 운영
  • 총 사업비 12,009,000,000원
  • 사업목적 가정‧상업시설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전기‧수도‧도시가스) 감축과 자동차 주행거리 감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및 국민 일상생활 속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활동에 대한 실효적 참여동기 부여
  • 사업내용
  • 유형분류 국제감축

탄소포인트제
  • 사업내용 가정(상업) 부문의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사용량 절감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에 대해 탄소포인트를 산정하여 이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범국민 온실가스 감축 실천프로그램
자동차 탄소포인트제
  • 사업내용 개인이 운행하는 자동차의 주행거리감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실적에 대해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수송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실천프로그램
탄소중립실천포인트제
  • 총 사업비 10,097,000,000원
  • 사업목적 개인 단위의 친환경생활 실천지원 및 온실가스 감축활동 보상 필요에 따라, 전자영수증, 리필스테이션 이용실적 등 친환경활동에 대한 데이터 공유 (업계 협업)를 통하여 인센티브 제공
  • 사업내용 전자영수증 발급, 리필스테이션 이용 등 개인 단위의 친환경활동에 따른 비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 유형분류 국제감축

그린카드제도 운영
  • 총 사업비 377,000,000원
  • 사업목적 신용(체크)카드 플랫폼을 활용하여 친환경제품 구매, 대중교통 이용 등 친환경 소비생활 실천 시 경제적 인센티브(포인트 지급, 할인 등)를 제공하여 대국민 탄소중립생활 실천 유도
  • 사업내용 신용(체크)카드 포인트 시스템을 활용하여 친환경제품 구매, 대중교통 이용 등 저탄소·친환경 소비생활 실천 시 인센티브(포인트 적립, 할인 등)를 제공
  • 유형분류 국제감축

2050탄소중립목표이행
  • 총 사업비 1,50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기후변화영향평가 대상사업 확대·운영을 위한 제도 설계 및 시범사업 추진 등 안정적 제도운영을 위한 기반 제공
  • 유형분류 국제감축

경상경비
  • 총 사업비 5,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국제감축

신기후체제 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R&D)
  • 사업기간 2022년 ~ 2028년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 기후변화정책관
  • 운영기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사업목적 신기후체제 下 국가(국민) 안녕 및 사회/산업 문제 해결을 위한 최적 대응 기술개발‘을 목표로 글로벌 모형 등을 통해 주요국 온실가스 관련 정책/기 술이 국내 환경·경제에 미치는 영향 파악하여 부문별 최적 감축경로 수립을 지원하고, 관측기반(인공위성)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총량 검증 (국가 2030 온실가스 감축 및 2050 탄소중립 달성경로 제안 및 이행평가)

기후변화 완화기술
  • 총 사업비 6,641,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글로벌 모형 등을 통해 주요국 온실가스 관련 정책/기술이 국내환경·경제에 미치는 영향 파악하여 부문별 최적 감축경로 수립을 지원하고, 관측기반(인공위성)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총량 검증
  • 유형분류 국제감축

기후변화 적응기술
  • 총 사업비 3,794,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기후위기 감시·예측 / 적응정보 고도화

대규모 CCS 통합실증 및 CCU 상용화 기반 구축사업(R&D)
  • 사업기간 2021년 ~ 2023년
  • 총 사업비 670,000,000원
  • 주관기관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 기후변화정책관
  • 운영기관
  • 사업목적 기후변화 대응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다부처(산업부, 과기부, 해수부, 환경부) 협력을 통한 CCUS 기술/정책적·사회적 수용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 연구

수열냉난방 및 재생열 하이브리드시스템 기술개발(R&D)
  • 사업기간 2020년 ~ 2023년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수자원정책국
  • 운영기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사업목적 물과 에너지를 연계한 새로운 물산업 적극 육성을 위한 수열 에너지 공급시스템 구축 지원으로 저탄소 기후변화 대응 수단으로 고효율, 친환경적인 수열 에너지 정책 적극 확대

수열에너지 적용을 통한 막여과 수처리 공정 개선 복합 기술
  • 총 사업비 785,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수열에너지를 시스템을 적용한 막여과 수처리 공정기술 개발 및 방류수 폐열을 이용한 농축폐수 승온시스템 구축을 통한 에너지 절감기술 개발
  • 유형분류 건물

에너지 다소비시설 적용 심층 저온수 활용 수열에너지 기술
  • 총 사업비 869,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소양강댐 심층냉수 등 하천수 수열에너지를 활용하여 인터넷데이터센터 등 대규모 열에너지 소비시설 운영효율화를 통한 전력사용량 절감
  • 유형분류 건물

하천수 수열에너지의 통합설계 플랫폼 구축 및 제로에너지 건축물 적용 기술
  • 총 사업비 27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건물

폐플라스틱 활용 원료·연료화 기술개발사업(R&D)
  • 사업기간 2022년 ~ 2025년
  • 총 사업비 7,650,000,000원
  • 주관기관 환경부 자원순환국
  • 운영기관
  • 사업목적 2050탄소중립 추진전략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폐플라스틱의 원료·연료화를 통한 소각/매립 대체, 석유화학원료 절감 등 온실가스 감축 및 자원순환사회 구축

(혁신도전형) 플라즈마 활용 폐유기물 고부가가치 기초원료화 기술개발사업(R&D)(환경부)
  • 사업기간 2022년 ~ 2025년
  • 총 사업비
  • 주관기관 환경부 자원순환국
  • 운영기관
  • 사업목적 폐유기자원을 C2 단량체*로 전환을 통한 탄소저감 및 폐기물 고부가가치화 공정기술개발

전처리/제염 기술개발
  • 총 사업비 2,20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산업

전환공정 및 시스템화
  • 총 사업비 40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산업

C2 생산 고도화 및 부가가치화 기술개발
  • 총 사업비 650,000,000원
  • 사업목적
  • 사업내용
  • 유형분류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