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탄소중립 생활실천

에 맞게 실천하는
알아보기!

실천효과 일러두기

  •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인, 1가구 등 개인의 연간 실천효과를 의미하며
    일정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하였습니다.
    감축량의 의미는 안내서의
    '산출 정보' 및 '부록1. 수칙별 계산식'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연간 비용 절감 1인, 1가구 등 개인의 실천에 따른 연간 비용절감 효과를 의미합니다.
  • 10% 참여효과 다수가 실천했을 때 효과를 보여주기 위해
    해당수칙 감축량 기준의
    10% 인원이 참여했을 때의
    이산화탄소 감축량을 의미합니다.
실천 효과는 개인별 상황, 기준 설정 등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각자의 여건에 맞게 조정 · 적용해야 합니다.
구분, 실천수칙,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연간 비용 절감, 10% 참여 효과
구분 실천수칙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연간 비용 절감 10% 참여 효과
구분 실천수칙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학교 참여 효과
우리 학교 전체 학교 10%
구분 실천수칙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기업 참여 효과
우리 기업 전체 기업 10%
가정 1 불필요한 조명기구 소등하기 251kg/가구 112,794원/가구 539,897t
2 세탁기 사용 횟수 줄이기 9kg/대 3,874원/대 16,930t
3 전기밥솥 보온 시간 줄이기 458kg/가구 205,544원/가구 810,076t
4 전기장판 사용 시간 줄이기 315kg/가구 141,250원/가구 676,111t
5 텔레비전 시청 시간 줄이기 73kg/대 32,609원/대 157,190t
6 가전제품 대기전력 차단하기 85kg/가구 38,124원/가구 182,472t
7 비데 절전기능 사용하기 42kg/대 18,928원/대 13,004t
8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이기 - - -
9 고효율 가전제품 사용하기 216kg/제품군 96,785원/제품군 304,755t
10 고효율 조리기구 사용하기 75kg/가구 33,735원/가구 161,481t
11 냉장고 에너지 효율 높이기 42kg/대 18,670원/대 138,718t
12 절수 설비·기기 설치하기 25kg/가구 77,942원/가구 53,068t
13 난방온도 2°C 낮추고, 냉방온도 2°C 높이기 150kg/가구 57,282원/가구 323,048t
14 창틀과 문틈 바람막이 설치하기 153kg/가구 56,835원/가구 328,849t
15 친환경 저녹스 보일러 사용하기 886kg/가구 438,738원/가구 559,117t
학교 1 빈 교실의 조명은 소등한다 33kg/학급 0.7t 772t
2 전자기기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3kg/대 1t 1,247t
3 절수 설비·기기를 설치한다 11kg/인 5t 6,338t
4 난방온도 2°C 낮추고, 냉방온도 2°C 높인다 98kg/학급 2t 2,322t
기업 1 승강기 격층 운행하고, 계단 이용하기 9,651kg/대 1t 48,870t
2 불필요한 조명기구 소등하기 46kg/기업 0.05t 2,007t
3 전자기기 대기전력 차단하기 402kg/제품군 0.4t 17,420t
4 컴퓨터 절전기능 사용하기 18kg/대 0.6t 23,701t
5 고효율 전자기기 사용하기 763kg/대 23t 33,062t
6 절수 설비·기기 설치하기 11kg/인 0.3t 14,815t
7 난방온도 2°C 낮추고, 냉방온도 2°C 높이기 583kg/기업 0.6t 25,263t
가정 1 녹색제품 구매하기 3kg/인 - 14,927t
2 저탄소·친환경 인증 농축수산물 구매하기 - - -
3 우리나라, 우리 지역, 제철 식재료 이용하기 132kg/인 - 682,186t
4 품질이 보증되고 오래 사용 가능한 제품 구매하기 - - -
5 다회용기에 내용물만 구매하기 0.9kg/인 - 4,665t
6 과대포장 제품 안 사기 - - -
7 재활용하기 쉬운 재질ᆞ구조로 된 제품 구매하기 - - -
8 새활용, 재활용 제품 구매하기 - - -
9 국산목재로 만든 제품 구매하기 - - -
10 중고제품 구매하고, 안 쓰는 제품 나눔하기 - - -
11 물은 받아서 사용하기 8kg/가구 25,541원/가구 17,381t
학교 1 저탄소·친환경 식단을 운영한다 - - -
2 교내에서 텃밭 채소를 길러본다 - - -
3 교복 물려주기를 실천한다 - - -
4 국산목재로 만든 제품을 구매한다 - - -
5 물을 절약한다 0.3kg/인 0.1t 158t
기업 1 기업 내 녹색제품 구매제도 운영하기 - - -
2 저탄소·친환경 식단 운영하기 - - -
3 탄소발자국을 고려한 소비 촉진하기 - - -
4 자원순환성을 고려한 제품 전략 수립하기 - - -
5 국산목재로 만든 제품 구매하기 - - -
가정 1 개인용 자동차 대신 대중교통 이용하기 242kg/대 178,598원/대 518,113t
2 가까운 거리는 걷거나 자전거 이용하기 147kg/대 108,381원/대 314,436t
3 자동차 공유 서비스 이용 시 무공해차 이용하기 10kg/인 7,423원/인 7,049t
4 무공해차 구매하기 1,216kg/대 - 2,600,813t
5 친환경 운전 실천하기 498kg/대 367,492원/대 1,066,109t
학교 1 등하교 시 도보 및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 19t 22,298t
1-1 왕복 3km 정도의 짧은 거리는 도보로 통학한다 30kg/인 14t 16,953t
1-2 차량 이용이 필요한 거리는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242kg/대 5t 5,345t
2 교직원 출퇴근 시 친환경 운전을 한다 324kg/대 6t 7,159t
3 스쿨버스는 무공해차로 교체하고, 학교에 전기 충전기를 설치한다 - - -
기업 1 임직원 대상 대중교통, 자전거 이용 활성화하기 242kg/대 4t 159,879t
2 공용차량을 무공해차로 교체하기 791kg/대 2t 103,757t
3 출퇴근 시 친환경 운전 실천하기 324kg/대 5t 214,142t
가정 1 비닐 사용 줄이기 25kg/인 - 131,234t
2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0.5kg/인 - 2,592t
3 음식 포장·배달 시 1회용품 사용 줄이기 2kg/인 - 11,921t
4 1회용 컵 대신 다회용 컵 사용하기 87kg/인 - 450,247t
5 컵 홀더 사용 줄이기 0.03kg/인 - 130t
6 물티슈 덜 쓰기 16kg/인 - 81,373t
7 종이 타월, 핸드 드라이어 대신 개인 손수건 사용하기 55kg/인 - 283,769t
8 인쇄 시 종이 사용 줄이기 15kg/인 - 80,129t
9 전자 영수증·청구서 이용하기 0.8kg/인 - 4,302t
10 재활용을 위한 분리배출 실천하기 19kg/인 - 96,041t
학교 1 음식은 먹을 만큼만 담는다 0.3kg/인 0.2t 181t
2 다회용 컵을 사용한다 57kg/인 27t 31,946t
3 종이 타월, 핸드 드라이어 대신 개인 손수건을 사용한다. 36kg/인 17t 20,134t
4 인쇄 시 종이 사용을 줄인다 15kg/인 7t 8,734t
5 재활용을 위한 분리배출을 실천한다 19kg/인 9t 10,468t
기업 1 1회용품 줄이기 지침 운영하기 57kg/인 2t 74,669t
2 종이 타월, 핸드 드라이어 대신 개인 손수건 사용하기 36kg/인 1t 47,059t
3 인쇄 시 종이 사용 줄이기 15kg/인 0.5t 20,413t
4 종이 없는 회의 활성화하기 17kg/인 0.5t 22,262t
5 전자 영수증·청구서 이용하기 0.6kg/인 0.02t 805t
6 재활용을 위한 분리배출 실천하기 19kg/인 0.6t 24,467t
가정 1 탄소흡수원의 중요성 알고 보호하기 - - -
2 나무심기 운동 참여하기 - - -
학교 1 탄소흡수원의 중요성을 알고 보호한다 - - -
2 나무심기 운동에 참여한다 - - -
기업 1 탄소흡수원의 중요성 알고 보호하기 - - -
2 ESG와 연계하여 탄소중립 숲 조성하기 - - -

조명기구 한 개의 전기 사용량은 작지만 여러 개의 조명기구를 장시간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 전기 사용량에서 조명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은 편이다.

실천효과
🌎 1가구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251kg

※ 연간 불필요한 조명기구 10시간/일 소등하는 것으로 가정

실천방법
  • 사용하지 않는 조명기구 소등하기
  • 소등행사(4월 22일 지구의 날 등) 참여하기
안내서 보기

세탁기의 전기 사용량을 줄이려면, 세탁물의 양보다는 사용 횟수를 줄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실천효과
🌎 1대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9kg

※ 연간 세탁기 사용 횟수를 4회/주에서 3회/주로 줄이는 것으로 가정

실천방법
  • 빨래는 최대한 모아 세탁 횟수 줄이기
  • 전기 사용량이 큰 온수 대신 냉수로 세탁하기
  • 건조기는 ‘강하게 모드’로 설정해 사용 시간 줄이기
안내서 보기

전기밥솥은 따뜻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는 ‘보온 기능’이 있기 때문에 다른 가전제품보다 전기 사용량이 매우 많다.

실천효과
🌎 1가구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458kg

※ 연간 전기밥솥 9.3시간/일 줄이는 것으로 가정

실천방법
  • 먹을 만큼만 밥을 짓고, 남은 밥은 소분해 냉동 보관하기
안내서 보기

전기장판 사용 시간을 줄이고 체온과 비슷한 온도로 설정해 사용하면, 전기 사용량과 함께 장시간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의 위험도 줄일 수 있다.

실천효과
🌎 1가구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315kg

※ 연간 전기장판 5시간/일 줄이는 것으로 가정

실천방법
  • 전기장판 사용 시간 줄이고, 필요한 시간만큼 타이머 설정해 사용하기
  • 보온성 유지를 위해 전기장판 위에 얇은 이불 덮어두기
  • 전기장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 차단하기
안내서 보기

가정의 텔레비전은 점점 대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사용량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실천효과
🌎 1대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73kg

※ 연간 텔레비전 시청 시간 4.53시간/일 줄이는 것으로 가정

실천방법
  • 텔레비전 시청 시간 줄이기
  • 텔레비전을 시청하지 않을 때는 주변기기(셋톱박스, 스피커 등)도 함께 대기전력 차단하기
안내서 보기

대기전력은 기기의 동작과 관계없이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소비되는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기를 말한다.

실천효과
🌎 1가구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85kg

※ 대기전력 차단율 85%로 가정

실천방법
  • 대기전력이 높거나, 일시적으로만 사용하는 가전제품 확인하기
  • 휴가, 명절 등으로 장기간 집을 비울 때는 가전제품 전원 차단하기
  • 가전제품의 특성과 생활 습관을 고려해 대기전력 차단장치 설치·관리하기
안내서 보기

비데는 대기전력 수요가 큰 가전제품에 속하며, 특히 앉는 부분인 변좌를 따뜻하게 데우고 온수를 공급하는 데 전기 소모가 크다.

실천효과
🌎 1대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42kg

※ 연간 상시 절전기능 사용으로 가정

실천방법
  • 절전 기능이 있는 비데를 구매하고, 상시 설정하기
  •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변기 뚜껑을 내려 손실되는 열 줄이기
  • 여름에는 ‘온열 변좌’ 기능을 끄거나, 온도를 낮추기
  • 휴가, 명절 등으로 장기간 집을 비울 때 비데 전원 차단하기
안내서 보기

‘디지털 탄소발자국’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뜻하며, 기기 충전, 인터넷 사용, 데이터 소비, 대기전력 등 기기를 사용하는 전과정에서 발생한다.

실천방법
  • 불필요한 메일은 수시로 정리(완전 삭제)하기
  •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 줄이고, 화면은 ‘절전모드’, 밝기는 ‘낮게’ 설정하기
  • 동영상은 데이터 사용량을 고려해 스트리밍보다 직접 내려받아 시청하기
    • 저장 데이터양이 늘어나면 데이터 수요에 필요한 데이터센터의 증가로 전기 사용량도 증가
    • 데이터센터는 서버, 네트워크 설비 등을 갖추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보관·처리하는 컴퓨터를 갖춘 시설로 열을 식히기 위한 냉방설비, IT장비 가동 등에 따라 많은 양의 전기 사용
안내서 보기

에너지 효율등급이 1등급에 가까운 가전제품일수록 등급이 낮은 제품보다 구매 비용이 높지만, 장기적으로 전기요금을 절약하고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실천효과
🌎 제품군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216kg

※ 고효율 가전제품 사용 가정(에어컨, 냉장고, 전기밥솥, 텔레비전, 세탁기, 공기청정기, 의류건조기)

실천방법
  • 에너지 관련 제도별 로고를 확인하고,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하기
안내서 보기

열효율이 높은 조리기구를 사용하는 것은 전기 사용량을 줄이는 것은 물론,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실천효과
🌎 1가구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75kg

※ 일반 인덕션을 고효율 인덕션으로 교체하여 사용한 것으로 가정

실천방법
  • 고효율 조리기구 구매하기
  • 인덕션을 사용할 경우 열전도율이 높은 전용 용기 사용하기
안내서 보기

음식과 식재료를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 냉장·냉동 기능을 상시 사용하는 냉장고는 전기 사용량이 큰 가전제품에 속한다.

실천효과
🌎 1대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42kg

※ 연간 냉장고의 용량을 60%만 채우기로 가정

실천방법
  • 냉장실은 냉기가 잘 순환될 수 있도록 60%만 채우기
  • 냉동실은 냉기가 빠지지 않도록 가득 채우기
  • 적정 냉장온도(3~4℃), 냉동온도(-18~-20℃) 유지하기
  • 식재료를 소분하여 보관하고, 목록은 냉장고 외관에 부착하기
  • 문을 여닫는 횟수를 줄이고, 잘 닫혔는지 확인하기
안내서 보기

물을 적게 사용하도록 구조·규격 등의 기준에 맞게 제작된 절수 설비와 기존 설비에 부속품을 교체하거나 추가로 장착해 사용하는 절수 기기가 있다.

실천효과
🌎 1가구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25kg

※ 절수 설비·기기를 설치하고 사용했을 경우로 가정

실천방법
  • 싱크대, 화장실 등의 수전 교체 시 절수 설비(수도꼭지, 변기 등)로 설치하기
  • 샤워기, 수도꼭지, 양변기에 절수 기기 장착하기
  • 샤워시간 줄이기(15분 기준 180L→13분 기준 156L)
안내서 보기

적정 실내온도에 맞춰 냉·난방기를 효율적으로 가동하면 전기 사용량을 줄이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실천효과
🌎 1가구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50kg

※ 전기 사용 절감률 9.4%, 도시가스(LNG) 사용 절감률 12.9% 적용

실천방법
  • 적정 실내온도를 고려해 냉·난방기 설정온도 조절하기
  • 실내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온도계를 눈에 띄는 곳에 설치하기
  • 난방
    • 따뜻한 옷차림(기모, 이중직 원단 등의 소재) 하기
    • 내복·수면양말·무릎담요와 같은 보온용품 적극 활용하기
  • 냉방
    • 시원한 옷차림(흡습, 속건, 통기성, 냉감 등의 소재) 하기
    • 에어컨은 선풍기와 함께 사용하기(단, 풍향을 동일하게 해야 함)
    • 커튼 등으로 집 안에 들어오는 햇볕 차단하기
안내서 보기

창문은 주택이나 아파트를 불문하고 실내의 훈기가 가장 많이 소실되는 곳으로, 겨울철 실내 온도를 떨어트려 난방기를 계속 가동하게 만드는 주범이다.

실천효과
🌎 1가구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53kg

※ 단열재 설치 시 도시가스(LNG) 사용 절감률 15%로 사용

실천방법
  • 문풍지 등 방풍효과가 있는 제품을 활용해 실내 열 손실 차단하기 문풍지
    • 창문·현관문·유리문에 부착하여 틈새로 들어오는 바람을 차단한다.
    • 접착면에 있는 테이프를 바람이 들어오는 문 틈새에 붙여 사용한다.
    에어캡
    • 내부에서 공기를 머금어 단열효과가 뛰어나다.
    • 분무기로 창문에 물을 뿌리고 나서 붙이면 접착력을 유지한다.
    • 1년에 한 번씩 교체하는 것을 권장한다.
    방풍비닐
    • 창문을 감싸는 비닐로 틈새 바람을 차단한다.
    • 이중창문 효과가 있어 난방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 테이프를 창틀에 붙이고 테이프 위에 비닐을 붙여 설치한다.
    틈막이
    • 테이프를 창틀에 붙이고 테이프 위에 비닐을 붙여 설치한다.
    • 창틀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 실내 온도가 2~3℃ 오르는 효과가 있다.
    단열벽지
    • 냉기나 열기를 차단해주는 벽지로 결로 방지효과가 있다.
    • 보통 두께가 5~10mm이며 원하는 만큼 길이와 너비로 잘라 스티커처럼 벽에 붙이는 형태가 있다.
안내서 보기

에너지 효율이 높은 친환경 저녹스 보일러를 사용하면 연료비 절감뿐만 아니라 미세먼지를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

실천효과
🌎 1가구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886kg

※ 일반 보일러 대비 친환경 저녹스 보일러 사용 시 도시가스(LNG) 사용 절감률 19.03%로 사용

실천방법
  • 보일러 교체 시 친환경 저녹스 보일러로 구매하기
    • 친환경 저녹스 보일러 보조금 대상 제품은 환경기술산업 원스톱 서비스(https://ecosq.or.kr)_환경인증_친환경 보일러 보조금_보조금 대상 제품 조회에서 확인 가능
안내서 보기

조명기구 한 개의 전기 사용량은 작지만 여러 개의 조명기구를 장시간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 전기 사용량에서 조명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은 편이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7t

※ 점심시간 1시간 소등 및 12개/학급 조명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

실천방법
  • 빈 교실의 조명기구 소등하기
  • 조명기구 스위치마다 소등 스티커 부착하기
  • 학급별로 에너지 지킴이 임명하기
  • 주간에는 자연채광을 최대한 활용하고, 창 측과 복도 측의 조명기구 소등하기
  • 학교 외벽 조명기구의 점등·소등 관리 철저히 하기
안내서 보기

대기전력은 기기의 동작과 관계없이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소비되는 전력으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기를 말한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t

※ 연간 237.6일 근무·등교일 및 16시간/일 대기전력 사용으로 가정

실천방법
  • 대기전력이 높거나, 일시적으로만 사용하는 전자기기 확인하기
  • 전자기기(에어컨 등)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콘센트 뽑기
  • 전자기기의 특성과 학사일정을 고려해 대기전력 차단장치 설치·관리하기
안내서 보기

물을 적게 사용하도록 구조·규격 등의 기준에 맞게 제작된 절수 설비와 기존 설비에 부속품을 교체하거나 추가로 장착해 사용하는 절수 기기가 있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5t

※ 절수 설비·기기를 설치하고 사용했을 경우로 가정

실천방법
  • 세면대, 변기 등의 교체 시 절수 설비(수도꼭지 등) 설치하기
  • 수도꼭지, 양변기에 절수 기기 장착하기
안내서 보기

적정 실내온도에 맞춰 냉·난방기를 효율적으로 가동하면 전기 사용량을 줄이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2t

※ 전기 사용 절감률 9.4%, 도시가스(LNG) 사용 절감률 12.9% 사용

실천방법
  • 적정 실내온도를 고려해 냉·난방기 설정온도 조절하기
  • 실내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온도계를 눈에 띄는 곳에 설치하기
  • 난방
    • 따뜻한 옷차림(기모, 이중직 원단 등의 소재) 하기
    • 내복·수면양말·무릎담요와 같은 보온용품 적극 활용하기
  • 냉방
    • 시원한 옷차림(흡습, 속건, 통기성, 냉감 등의 소재)하기
    • 에어컨은 선풍기와 함께 사용하기(단, 풍향을 동일하게 해야 함)
    • 커튼 등으로 학교 안에 들어오는 햇볕 차단하기
안내서 보기

건물 승강기의 평균 운행 횟수는 1대/일 1,200회 정도이며, 연간 약 41t의 탄소를 배출한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t

※ 승강기 격층 운행 시 전기 사용 절감률 23.6%로 가정

실천방법
  • 승강기 격층 운행하기
  • 승강기 대신 계단 이용하기
안내서 보기

조명기구 한 개의 전기 사용량은 작지만 여러 개의 조명기구를 장시간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 전기 사용량에서 조명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은 편이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05t

※ 점심시간 1시간 소등 및 17개/기업 조명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

실천방법
  • 사용하지 않는 조명기구 소등하기
  • 소등행사(4월 22일 지구의 날 등) 참여하기
안내서 보기

대기전력은 기기의 동작과 관계없이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소비되는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기를 말한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4t

※ 전자기기 5종(컴퓨터, VoIP 전화기, 프린터, 유무선공유기, 전자레인지), 기업당 컴퓨터 각 1대/인, 전화기 각 1대/인, 프린터·유무선공유기·전자레인지 각 2대/기업 사용으로 가정

실천방법
  • 대기전력이 높거나, 일시적으로만 사용하는 전자기기 확인하기
  • 전자기기 특성과 사용 정도를 고려해 대기전력 차단장치 설치·관리하기
  • 점심시간 및 퇴근 시 직원들이 대기전력 차단하는 사내 문화 조성하기
안내서 보기

절전모드는 일정 시간 이상 PC를 쓰지 않을 때 자동으로 본체 및 모니터 전원을 꺼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기능이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6t

※ 연간 휴게시간 1시간/일 및 컴퓨터 1대/인 사용으로 가정

실천방법
  • 점심시간 및 회의, 휴식 등으로 자리를 비울 때 컴퓨터 절전기능 사용하기
안내서 보기

에너지 효율등급이 1등급에 가까운 전자기기일수록 등급이 낮은 제품보다 구매 비용이 높지만, 장기적으로 전기요금을 절약하고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23t

※ 연간 전기냉난방기 2대/기업 사용 가정

실천방법
  • 에너지 관련 제도별 로고를 확인하고, 고효율 전자기기 구매하기
안내서 보기

물을 적게 사용하도록 구조·규격 등의 기준에 맞게 제작된 절수 설비와 기존 설비에 부속품을 교체하거나 추가로 장착해 사용하는 절수 기기가 있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3t

※ 절수 설비·기기를 설치하고 사용했을 경우로 가정

실천방법
  • 준비실, 화장실 등의 수전 교체 시 절수 설비(수도꼭지, 변기 등) 설치하기
  • 수도꼭지, 양변기에 절수 기기 장착하기
안내서 보기

적정 실내온도에 맞춰 냉·난방기를 효율적으로 가동하면 전기 사용량을 줄이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6t

※ 전기 사용 절감률 9.4%, 도시가스(LNG) 사용 절감률 12.9% 사용

실천방법
  • 적정 실내온도를 고려해 냉·난방기 설정온도 조절하기
  • 실내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온도계를 눈에 띄는 곳에 설치하기
  • 난방
    • 따뜻한 옷차림(기모, 이중직 원단 등의 소재) 하기
    • 내복·수면양말·무릎담요와 같은 보온용품 적극 활용하기
  • 냉방
    • 시원한 옷차림(흡습, 속건, 통기성, 냉감 등의 소재)하기
    • 에어컨은 선풍기와 함께 사용하기(단, 풍향을 동일하게 해야 함)
    • 커튼 등으로 집 안에 들어오는 햇볕 차단하기
안내서 보기

녹색제품은 에너지 자원의 투입과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제품이다.

실천효과
🌎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3kg

※ 연간 생수(2L) 소비량 96개/인으로 가정

실천방법
  • 녹색제품(환경표지 제품, 우수재활용 제품, 저탄소 제품) 구매하기
구분, 환경표지 제품, 우수재활용제품, 저탄소제품
구분 환경표지 제품 우수재활용(GR) 제품 저탄소 제품
정의 동일 용도의 다른 제품에 비하여 환경오염을 적게 일으키거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제품 품질, 친환경성 등을 정부가 인증한 재활용 제품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제품으로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은 제품 중 ‘저탄소 제품 기준’ 고시에 적합한 제품
근거법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
인증 마크
안내서 보기

농축수산물을 생산·유통·보관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기 때문에 탄소 배출이 적은 제품을 선택하여 저탄소·친환경 식생활을 실천해야 한다.

실천방법
  • 저탄소 농축산물, 친환경 수산물 인증마크를 확인하고 구매하기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마크
안내서 보기

제철 지역 식재료는 생산지에서 우리 식탁으로 오르기까지 전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줄이고, 이를 활용한 요리를 통해 신선하고 영양까지 풍부한 식생활을 즐길 수 있다.

실천효과
🌎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32kg

※ 국내산 소고기 연간 구매 확대 비율 20%로 가정

실천방법
  • 국내산·제철 식재료 이용하기
  • 지역 농산물(로컬푸드) 매장 이용하기
  • 텃밭 또는 화분과 같은 용기를 이용해 채소를 직접 키워 먹기
안내서 보기

우수한 품질을 갖춘 ‘품질이 보증된 제품’을 구매하면 오랜 기간 제품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폐기물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실천방법
  • 품질보증마크(KC마크, Q마크) 확인 후 제품 구매하기 [참고] 품질보증마크 비교
K마크
  • 제도 소개 안전ㆍ보건ㆍ환경ㆍ품질 등 분야별 인증마크를 국가적으로 단일화한 국가통합인증마크
  • 기준 제품별 관련 법령의 요구사항을 준수하고 있음을 의미
    KC인증을 획득하지 못한 제품은 국내에서 판매 불가
Q마크
  • 제도 소개 공산품의 품질을 인증하는 민간인증마크
  • 기준 품질을 보증하고 성능평가 및 안전성 평가를 거쳐 합격된 제품은 Q마크를 부착
안내서 보기

빈 다회용기를 이용하여 화장품, 세제 등을 필요한 만큼 덜어서 구매하면, 생활용품 형태의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실천효과
🌎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9kg

※ 연간 1L 샴푸 1.9개 사용으로 가정

실천방법
  • 빈 다회용기를 이용하여 화장품, 세제 등 구매하기
  • 리필스테이션 이용하고 탄소중립포인트 적립받기
안내서 보기

과대포장은 플라스틱, 비닐, 종이 등의 자원을 낭비하고, 제품의 가격까지 상승시키는 등 불필요한 비용을 발생시킨다.

실천방법
  • 친환경으로 포장된 ‘착한 포장’ 또는 포장재를 최소화한 제품 구매하기
  • 선물할 때 재사용할 수 있는 포장재(수건, 보자기 등) 사용하기
안내서 보기

재활용하기 쉬운 단일 재질의 제품으로 구매하고, 분리배출을 철저히 하면 재활용 과정 효율을 높이고, 이에 따른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실천방법
  • 라벨이 없거나, 쉽게 분리되는 제품 구매하기
  • 이물질은 제거하고, 분리배출 표시대로 바르게 배출하기
안내서 보기

새활용은 부산물, 폐자원 등과 같이 쓸모없거나 버려지는 것들을 새롭게 디자인해 예술·환경적으로 재탄생시킨 물건으로 재활용의 방식 중 하나이다.

실천방법
  • 재생원료*로 만든 제품 구매하기 *재활용가능자원을 재생이용한 원료
  • 재사용·재활용으로 화학 공정을 최소화한 제품 구매하기
안내서 보기

목재는 가공이 쉽고 생산 과정에서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는 친환경 소재이며, 특히 국산목재는 수입목재와 비교하여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이 낮다.

실천방법
  • 국산목재로 만들어진 제품(가구, 생활제품, 소품 등) 구매하기
안내서 보기

자신에게는 쓸모가 없어진 제품도 누군가에게는 다시 사용하는 자원으로서 가치를 가질 수 있다.

실천방법
  • 물건은 버리기 전에 중고제품 거래나 나눔장터에서 쓰임새 찾기
  • 꼭 필요한지, 중고제품으로 구할 수 있는지 확인 후 새 제품 구매하기
안내서 보기

우리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물은 ‘상수도 설비’를 이용하여 공급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당한 전기가 사용된다.

실천효과
🌎 가구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8kg

※ 물 받아서 설거지하는 경우 1회당 물 사용 절감률 60%으로 가정

실천방법
  • 설거지통 및 양치컵 사용하기
  • 기름이 묻은 용기는 휴지 등으로 닦아낸 후 다른 용기와 분리해 설거지하기
안내서 보기

농축수산물을 생산·유통·보관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기 때문에 탄소 배출이 적은 제품을 선택하여 저탄소·친환경 급식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실천방법
  • 저탄소 농축산물, 친환경 수산물 인증마크를 확인하고 구매하기
  • 우리나라, 우리 지역, 제철 식재료로 식단 구성하기
  • 조리 시 열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생채나 무침 위주의 식단 구성하기
  • 푸드마일리지*를 줄이기 위해 ‘지역 농산물 및 국내산 농축산물 먹는 날’ 운영하기 *식품이 생산·운송·유통 단계를 거쳐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는 과정에서 소요된 거리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마크
안내서 보기

텃밭 활동을 통해 식재료의 온실가스 줄이기, 올바른 식습관 형성, 먹거리의 소중함 등을 배울 수 있다.

실천방법
  • 학교 내 유휴 부지인 화단이나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여 텃밭 조성하기
  • 텃밭 수업을 먹거리 및 식습관에 대한 교육과 연계하기
  • 텃밭에서 재배한 농산물을 급식 식재료로 사용하기
안내서 보기

작아지거나 졸업, 전학 등으로 불필요해진 교복을 필요한 학생에게 물려준다면 자원 절약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실천방법
  • 교복을 오래 깨끗하게 입기
  • 졸업 시기에 맞춰 교복 물려주기 행사 개최하기
안내서 보기

목재는 가공이 쉽고 생산 과정에서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는 친환경 소재이며, 특히 국산목재는 수입목재와 비교하여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이 낮다.

실천방법
  • 국산목재로 만들어진 제품(가구, 생활제품, 소품 등) 구매하기
안내서 보기

우리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물은 ‘상수도 설비’를 이용하여 공급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당한 전기가 사용된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1t

※ 연간 양치컵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

실천방법
  • 양치컵 사용하기
안내서 보기

녹색제품은 에너지 자원의 투입과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제품이다.

실천방법
  • 녹색제품(환경표지 제품, 우수재활용 제품, 저탄소 제품) 구매하기 ※ 공공녹색구매제도 : 공공분야의 경우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국민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녹색제품 구매를 의무화
  • 직원들을 대상으로 녹색제품 구매 교육 실시하기
구분, 환경표지 제품, 우수재활용제품, 저탄소제품
구분 환경표지 제품 우수재활용(GR) 제품 저탄소 제품
정의 동일 용도의 다른 제품에 비하여 환경오염을 적게 일으키거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제품 품질, 친환경성 등을 정부가 인증한 재활용 제품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제품으로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은 제품 중 ‘저탄소 제품 기준’ 고시에 적합한 제품
근거법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
인증 마크
안내서 보기

농축수산물을 생산·유통·보관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기 때문에 탄소 배출이 적은 제품을 선택하여 저탄소·친환경 식단을 운영해야 한다.

실천방법
  • 저탄소 농축산물, 친환경 수산물 인증마크를 확인하고 구매하기
  • 우리나라, 우리 지역, 제철 식재료로 식단 구성하기
  • 조리 시 열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생채나 무침 위주의 식단 구성하기
  • 푸드마일리지*를 줄이기 위해 ‘지역 농산물 및 국내산 농축산물 먹는 날’ 운영하기 *식품이 생산·운송·유통 단계를 거쳐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는 과정에서 소요된 거리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마크
안내서 보기

‘탄소발자국’이란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과정에 걸쳐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하여 표시한 것이다.

실천방법
  • 소비자 및 임직원 대상으로 탄소발자국을 고려한 소비 교육·홍보하기
  • 품질이 보증되고 오래 사용 가능한 제품 구매하기
  • 과대포장 제품 안 사기
  • 재활용하기 쉬운 재질·구조로 된 제품 구매하기
  • 새활용, 재활용 제품 구매하기
  • 중고제품 구매하고, 안 쓰는 제품 나눔하기
  • 고효율 전자 사무기기 사용하기
안내서 보기

제품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환경’에 대한 책임을 고려해야 하며, 생산부터 폐기까지 제품 전체의 자원순환성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실천방법
  • 환경성적표지, 저탄소 인증제품 개발하기
  • 제품의 제조·배송 과정에서 과대포장 줄이기
  • 소비자 필요에 따라 포장 유무·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개선하기
  • 분리배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재활용 공정에서는 처리가 쉽도록 제품 설계하기
  • 이월 재고 및 리퍼브 제품 적극적으로 판매하기
안내서 보기

목재는 가공이 쉽고 생산 과정에서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는 친환경 소재이며, 특히 국산목재는 수입목재와 비교하여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이 낮다.

실천방법
  • 국산목재로 만들어진 제품(가구, 생활제품, 소품 등) 구매하기
안내서 보기

우리나라 등록 자동차 중 약 82.4%가 개인용 자동차인 만큼, 이를 줄이기 위해 생활 속에서 대중교통 타기를 습관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실천효과
🌎 1대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242 kg

※ 연간 1회/주 대중교통 이용 확대로 가정

실천방법
  • 버스(시내·마을버스, 시외·고속버스 등), 지하철, 기차 등 대중교통 적극 이용하기
안내서 보기

우리나라의 수송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중 도로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만큼, 가까운 거리는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실천효과
🌎 1대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47kg

※ 연간 매일 3km 도보 혹은 자전거 이용으로 가정

실천방법
  • 가까운 거리는 걷거나 자전거 이용하기
안내서 보기

대부분의 전기 자동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평균 연비(16km/L) 보다 3배 가량 연비가 높다.

실천효과
🌎 이용자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0kg

※ 연간 주행 거리 500km로 가정(100km/회, 5회/년)

실천방법
  • 자동차 공유 서비스 이용 시 무공해차(전기·수소 자동차) 대여하기
  • 무공해차 이용하고, 탄소중립포인트 적립받기
안내서 보기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와 모터만으로, 수소 자동차는 수소로 발생된 전기 에너지로 구동되므로 무공해차인 전기·수소 자동차를 타면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실천효과
🌎 1대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216kg

※ 전기 자동차 1대 구매로 가정

실천방법
  • 자동차 교체 시 전기·수소 자동차 구매하기
안내서 보기

친환경 운전은 경제성, 안정성, 편리성은 높이고 에너지는 절약하는 운전 습관으로 ‘에코 드라이브(경제운전)’라고도 하며, 자동차를 운행하는 방법, 습관 또는 행태 등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연료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실천효과
🌎 1대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498kg
※ 수칙 3가지 합산
  • ① (경제속도 준수하기) 속도 10km/h 줄이고, 10% 연료 절감률 적용
    (고속도로 90~100km/h, 일반도로 50~80km/h 준수)
  • ② (불필요한 공회전 하지 않기) 30분/일 공회전 줄이기로 가정
  • ③ (불필요한 짐 싣지 않기) 불필요한 짐 10kg 줄이기로 가정
실천방법
  • 급제동·급출발하지 않기
    • 출발 후 5초 동안 천천히 가속하기
    • 초당 8~14km/h 이상 가속·감속하지 않기
  • 공회전 최소화하기
    • 장시간 주정차 시 엔진 정지하기
  • 관성주행 활용하기
    • 교차로 신호 예측하여 관성으로 정지하기
    • 오르막길 진입 전 가속하여 탄력 주행하기
  • 경제속도 유지하기
    • 급가속·급감속을 하지 않고 불필요한 차로변경 자제하기
    • 앞차와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하기
    • 교통상황에 따라 정속주행하기
  • 교통정보 생활화하기
    • 교통정보 매체(지도, 인터넷, 교통방송, 내비게이션 등)를 활용하여 운행 전 최적경로 파악하기
  • 적재물 줄이기
    • 자동차 트렁크에 필요한 짐만 싣기
    • 자동차 연료는 절반만 채워 운행하기
  • 바퀴 공기압 확인하기
    • 매월(최소 분기별) 바퀴 공기압 점검하기
    • 차량 운전석 문 안쪽, 연료 주입구 안쪽, 차량 사용안내서 등에서 확인하기
  • 에어컨 사용 줄이기
    • 에어컨 작동 시에는 실내 온도를 최대한 빨리 낮춰 반복 사용하기
  • 소모품 관리하기
    • 각종 소모품 교환주기 준수하기
    • 매월(최소 분기별) 1회 차량 점검 정비하기
안내서 보기

우리나라의 수송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중 도로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만큼, 가까운 거리는 대중교통이나 자전거를 이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9t
※ 실천규칙 2가지 합산, 교원 수의 50%가 차량을 소유한 것으로 가정
  • ① 왕복 3km 정도 거리는 도보로 통학한다
  • ② 차량 이용이 필요한 거리는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실천방법
  • 등하교 및 출퇴근 시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등), 도보 등을 이용하기
  • 교직원 대상 자동차 요일제 시행하기
안내서 보기

우리나라의 수송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중 도로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만큼, 가까운 거리는 대중교통이나 자전거를 이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4t
※ 실천규칙 2가지 합산, 교원 수의 50%가 차량을 소유한 것으로 가정
  • ① 왕복 3km 정도 거리는 도보로 통학한다
  • ② 차량 이용이 필요한 거리는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실천방법
  • 등하교 및 출퇴근 시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등), 도보 등을 이용하기
안내서 보기

우리나라의 수송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중 도로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만큼, 가까운 거리는 대중교통이나 자전거를 이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5t
※ 실천규칙 2가지 합산, 교원 수의 50%가 차량을 소유한 것으로 가정
  • ① 왕복 3km 정도 거리는 도보로 통학한다
  • ② 차량 이용이 필요한 거리는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실천방법
  • 등하교 및 출퇴근 시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등), 도보 등을 이용하기
안내서 보기

친환경 운전은 경제성, 안정성, 편리성은 높이고 에너지는 절약하는 운전 습관으로 ‘에코 드라이브(경제운전)’라고도 하며, 자동차를 운행하는 방법, 습관 또는 행태 등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연료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6t
※ 친환경 운전 실천규칙 3가지 합산
  • ① (경제속도를 준수한다.) 속도 10km/h 줄이고, 10% 연료 절감률 적용
    (고속도로 90~100km/h, 일반도로 50~80km/h 준수)
  • ② (불필요한 공회전을 하지 않는다.) 30분/일 공회전 줄이기로 가정
  • ③ (불필요한 짐을 싣지 않는다.) 불필요한 짐 10kg 줄이기로
실천방법
  • 급제동·급출발하지 않기
    • 출발 후 5초 동안 천천히 가속하기
    • 초당 8~14km/h 이상 가속·감속하지 않기
  • 공회전 최소화하기
    • 장시간 주정차 시 엔진 정지하기
  • 관성주행 활용하기
    • 교차로 신호 예측하여 관성으로 정지하기
    • 오르막길 진입 전 가속하여 탄력 주행하기
  • 경제속도 유지하기
    • 급가속·급감속을 하지 않고 불필요한 차로변경 자제하기
    • 앞차와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하기
    • 교통상황에 따라 정속주행하기
  • 교통정보 생활화하기
    • 교통정보 매체(지도, 인터넷, 교통방송, 내비게이션 등)를 활용하여 운행 전 최적경로 파악하기
  • 적재물 줄이기
    • 자동차 트렁크에 필요한 짐만 싣기
    • 자동차 연료는 절반만 채워 운행하기
  • 바퀴 공기압 확인하기
    • 매월(최소 분기별) 바퀴 공기압 점검하기
    • 차량 운전석 문 안쪽, 연료 주입구 안쪽, 차량 사용안내서 등에서 확인하기
  • 에어컨 사용 줄이기
    • 에어컨 작동 시에는 실내 온도를 최대한 빨리 낮춰 반복 사용하기
  • 소모품 관리하기
    • 각종 소모품 교환주기 준수하기
    • 매월(최소 분기별) 1회 차량 점검 정비하기
  • 교직원 대상 교육하기
    • 친환경 운전 교육 및 캠페인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기
안내서 보기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와 모터만으로, 수소 자동차는 수소로 발생된 전기 에너지로 구동되므로 무공해차인 전기·수소 자동차를 타면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실천방법
  • 스쿨버스 및 관용차량 교체 시, 무공해차로 교체하기
  • 학교에 공영주차장이 있는 경우 전기 충전기를 설치하기
안내서 보기

우리나라의 수송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중 도로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만큼, 가까운 거리는 대중교통이나 자전거를 이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4t
※ 연간 1회/주 대중교통 이용 확대, 임직원 중 50%가 차량을 소유하고 있다고 가정
실천방법
  • 출퇴근 및 출장 시 대중교통, 자전거 이용 장려하기
  • 출퇴근 시간 조정, 자전거 거치대 또는 주차장·샤워 시설 제공 등 활성화 방안 마련하기
  • 임직원 대상 자동차 요일제 시행하기
안내서 보기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와 모터만으로, 수소 자동차는 수소로 발생된 전기 에너지로 구동되므로 무공해차인 전기·수소 자동차를 타면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2t
※ 휘발유 자동차에서 전기 자동차로 교체하는 것으로 가정
실천방법
  • 공용 차량은 전기·수소 자동차 구매하기
  • 필요 시 전기·수소 자동차 대여하기
  • 기업 주차장이 있는 경우, 전기 충전기를 설치하기
안내서 보기

친환경 운전은 경제성, 안정성, 편리성은 높이고 에너지는 절약하는 운전 습관으로 ‘에코 드라이브(경제운전)’라고도 하며, 자동차를 운행하는 방법, 습관 또는 행태 등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연료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5t
※ 친환경 운전 실천수칙 3가지 합산
  • ① (경제속도 준수하기) 속도 10km/h 줄이고, 10% 연료 절감률 적용
    (고속도로 90~100km/h, 일반도로 50~80km/h 준수)
  • ② (불필요한 공회전 하지 않기) 30분/일 공회전 줄이기로 가정
  • ③ (불필요한 짐 싣지 않기) 불필요한 짐 10kg 줄이기로 가정
실천방법
  • 급제동·급출발하지 않기
    • 출발 후 5초 동안 천천히 가속하기
    • 초당 8~14km/h 이상 가속·감속하지 않기
  • 공회전 최소화하기
    • 장시간 주정차 시 엔진 정지하기
  • 관성주행 활용하기
    • 교차로 신호 예측하여 관성으로 정지하기
    • 오르막길 진입 전 가속하여 탄력 주행하기
  • 경제속도 유지하기
    • 급가속·급감속을 하지 않고 불필요한 차로변경 자제하기
    • 앞차와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하기
    • 교통상황에 따라 정속주행하기
  • 교통정보 생활화하기
    • 교통정보 매체(지도, 인터넷, 교통방송, 내비게이션 등)를 활용하여 운행 전 최적경로 파악하기
  • 적재물 줄이기
    • 자동차 트렁크에 필요한 짐만 싣기
    • 자동차 연료는 절반만 채워 운행하기
  • 바퀴 공기압 확인하기
    • 매월(최소 분기별) 바퀴 공기압 점검하기
    • 차량 운전석 문 안쪽, 연료 주입구 안쪽, 차량 사용안내서 등에서 확인하기
  • 에어컨 사용 줄이기
    • 에어컨 작동 시에는 실내 온도를 최대한 빨리 낮춰 반복 사용하기
  • 소모품 관리하기
    • 각종 소모품 교환주기 준수하기
    • 매월(최소 분기별) 1회 차량 점검 정비하기
  • 임직원 대상 교육하기
    • 친환경 운전 교육 및 캠페인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기
안내서 보기

비닐의 경우 자연 분해에 오랜 기간이 소요되며, 소각하거나 땅속에 매립돼 썩는 과정에서 각종 유해 물질도 발생한다.

실천효과
🌎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25kg
※ 연간 비닐봉투 533개/인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
실천방법
  • 편의점, 전통시장 등으로 물건 구매하러 갈 때 장바구니 들고 가기
  • 낱개 또는 겉에 물기가 없는 과일·채소 구매 시 속비닐 사용하지 않기
  • 1회용 비닐 랩 대신 다회용 랩(실리콘 랩 등) 사용하기
  • 우산은 휴대하기 간편한 빗물 방수커버, 빗물받이 캡 사용하기
  • 상자 포장 시 비닐 테이프, 에어캡 대신 종이 테이프·완충재 사용하기
  • 장바구니 대여 서비스 이용 시 깨끗하게 쓴 뒤 반납하고, 개인용 장바구니는 최대한 오래 사용하기
안내서 보기

우리나라의 연간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13,694t/일(2022년 기준)이며, 음식물 쓰레기는 분해 과정에서 메탄,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실천효과
🌎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5kg
※ 연간 음식물 쓰레기 10% 줄이기로 가정
실천방법
  • 식단계획과 유통기한을 고려해 최소한의 식재료만 구입하기
  • 식재료는 소분하여 투명 용기에 보관하기
  • 음식은 인원에 맞춰 주문하고, 먹지 않을 반찬은 사전에 반납하기
  • 길거나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는 잘게 썰어 배출하기
  • 찌개류는 국물을 버리고, 찌꺼기의 물기를 제거한 후 배출하기
안내서 보기

배달 서비스 이용률이 높아짐에 따라 1회용품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1회용품 제작 과정에서 자원 낭비, 폐기물 처리를 위한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실천효과
🌎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2kg
※ 연간 주 2회 음식 포장·배달 가정
실천방법
  • 배달 앱에서 1회용 수저, 포크를 받지 않도록 설정하기
  • 배달 음식은 다회용기로 주문하기
  • 1회용기 대신 다회용기에 음식 포장하기
  • 다회용기 사용을 장려하는 ‘용기 내’ 캠페인 동참하기
안내서 보기

우리나라는 커피 문화 확산 등 생활상이 변화함에 따라 1회용 컵 사용량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실천효과
🌎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87kg
※ 연간 종이컵 5개/일 줄이기로 가정
실천방법
  • 실내에서는 개인 컵을 사용하고, 외출할 때는 텀블러 사용하기
  • 커피전문점 등에서 텀블러로 음료 구매하고, 탄소중립포인트 적립받기
안내서 보기

컵 홀더란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가 담긴 컵을 쉽고 안전하게 들 수 있도록 컵에 끼우는 종이띠 또는 고정장치를 뜻하며, 주로 음료 포장 시에 1회용 컵 홀더가 사용되고 있다.

실천효과
🌎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03kg
※ 연간 컵 홀더 100개/인 줄이기로 가정
실천방법
  • 텀블러 및 다회용컵으로 음료를 구매하고, 1회용 컵 홀더 사용하지 않기
안내서 보기

물티슈는 플라스틱 계열인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으로 만들어져 재활용이 불가능하며, 매립 또는 소각을 통해 처리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다량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실천효과
🌎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6kg
※ 연간 물티슈 5매/일 줄이기로 가정
실천방법
  • 식탁은 행주로 닦고, 바닥은 걸레로 청소하기
  • 음식을 먹기 전에 물티슈 대신 화장실에서 손 씻기
  • 외출할 때 손수건 가지고 다니기
안내서 보기

종이 타월은 생산 과정에서 상당량의 나무를 베어야 하며, 표백 처리 과정에서 나온 폐수는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범이다.

실천효과
🌎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55kg
※ 연간 손 씻기 10회/일로 가정, 종이 타월 5회/일 , 핸드 드라이어 5회/일 사용 및 종이 타월 1장/회 사용으로 가정
실천방법
  • 손을 씻은 후 물기를 털어내고, 개인 손수건 사용하기
안내서 보기

일반 종이 1t 생산 시 나무가 24그루가 필요하며, 우리나라 한 해 종이 소비량은 990만 t이다.

실천효과
🌎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5kg
※ 종이 사용 절감률 50%로 가정
실천방법
  • 인쇄 시 양면인쇄, 모아찍기, 흑백인쇄 등의 기능 설정하기
  • 문서를 출력하면 잉크가 번져 글꼴의 구멍이 채워지는 에코폰트 사용하기
안내서 보기

종이 영수증·청구서는 주로 한 번 확인하고 버려지지만, 제작부터 폐기되는 과정에서 자원 낭비, 폐기물 처리 부담, 개인정보 유출, 온실가스 배출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실천효과
🌎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8kg
※ 연간 종이 청구서 3장/월, 종이 영수증 1장/일을 전자 청구서 또는 전자 영수증으로 받기 가정
실천방법
  • 대형마트, 백화점에서 물품 구매 후 전용 앱으로 전자 영수증 받기
  • 불필요한 종이 영수증·청구서 받지 않기
  • 전자 영수증 발급받고, 탄소중립포인트 적립받기
안내서 보기

폐기물을 재활용하지 않으면 처리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며, 매립·소각 과정 중에 온실가스가 다량 배출되므로 생활 속에서부터 분리배출을 올바르게 해야 한다.

실천효과
🌎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9kg
※ 연간 500ml PET병 109개/인 사용 줄이기로 가정
실천방법
  • 재활용품별 분리배출 방법에 따라 올바르게 분리배출하기 골판지상자
    • 택배송장, 테이프, 알루미늄박, 철핀 등 다른 재질을 제거한 후 접어서 배출
    종이팩
    •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구는 등 이물질을 제거하고 말린 후 배출
    • 종이팩과 다른 재질은 제거한 후 배출
    무색(투명)생수·음료 PET병
    •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부착상표(라벨) 등을 제거한 후 가능한 압착하여 뚜껑을 닫아 배출
    기타 플라스틱류
    • PET, PE, PP, PS, PSP 재질 등의 용기·트레이류
    • 이물질·물기 제거 후 본체와 다른 재질은 제거한 후 배출
    비닐류·유리병·금속캔류
    •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구는 등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출
    전지류
    • 전지를 제품에서 분리하여 배출
    • 주요 거점에 비치된 수거함에 배출 또는 지정된 전지류 수거일·장소에 배출
    폐식용유
    • 이물질이 섞이지 않게 모아 지자체 또는 민간 재활용사업자가 마련한 수거장소, 전용 수거함 등에 배출
※ 단, 지역별 구체적인 분리배출 품목 및 배출 방법은 해당 지자체 조례로 규정
※ 재활용품으로 오해하기 쉬운 품목은 지자체 조례에 따라 종량제봉투 등에 담아 배출
안내서 보기

우리나라의 연간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13,694t/일(2022년 기준)이며, 음식물 쓰레기는 분해 과정에서 메탄,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2t
※ 연간 음식물 쓰레기 10% 줄이기로 가정
실천방법
  • 식단계획과 유통기한을 고려해 최소한의 식재료만 구입하기
  • 먹지 않을 반찬은 사전에 반납하기
안내서 보기

1회용 컵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원이 낭비되고,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증가시킨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27t
※ 연간 종이컵 5개/일 줄이기로 가정
실천방법
  • 학교에서 물 마실 때는 개인 컵 사용하기
  • 야외 행사, 체험학습 시 1회용 컵 대신 텀블러 사용하기
안내서 보기

종이 타월은 생산 과정에서 상당량의 나무를 베어야 하며, 표백 처리 과정에서 나온 폐수는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범이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7t
※ 연간 손 씻기 10회/일로 가정, 종이 타월 5회/일 , 핸드 드라이어 5회/일 사용 및 종이 타월 1장/회 사용으로 가정
실천방법
  • 책상 및 사물함 등에 개인 손수건을 비치해 두고 사용하기
  • 젖은 손수건을 말릴 수 있도록 책상 등에 걸고리 설치하기
안내서 보기

일반 종이 1t 생산 시 나무가 24그루가 필요하며, 우리나라 한 해 종이 소비량은 990만t이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7t
※ 종이 사용 절감률 50%로 가정
실천방법
  • 인쇄 시 양면인쇄, 모아찍기, 흑백인쇄 등의 기능 설정하기
  • 문서를 출력하면 잉크가 번져 글꼴의 구멍이 채워지는 에코폰트 사용하기
  • 각종 인쇄물(가정통신문 등) 대신 온라인(학급·학교 누리집) 활용하기
  • 이면지 정리함을 마련하여 이면지 사용하기
  • 한 번 사용한 종이를 재활용해 만든 재생지 사용하기
안내서 보기

폐기물을 재활용하지 않으면 처리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며, 매립·소각 과정 중에 온실가스가 다량 배출되므로 생활 속에서부터 분리배출을 올바르게 해야 한다.

실천효과
🌎 우리 학교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9t
※ 연간 500ml PET병 109개/인 사용 줄이기로 가정
실천방법
  • 교내에 분리배출 쓰레기통을 설치하기
  • 학생·교직원 대상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교육하기
  • 분리배출 도구를 활용해 페트병의 라벨과 뚜껑 링 등은 제거하기
  • 학급 내 분리수거 담당 학생을 지정하고, 자원봉사 시간과 같은 혜택 부여하기
재활용품별 분리배출 방법 골판지상자
  • 택배송장, 테이프, 알루미늄박, 철핀 등 다른 재질을 제거한 후 접어서 배출
종이팩
  •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구는 등 이물질을 제거하고 말린 후 배출
  • 종이팩과 다른 재질은 제거한 후 배출
무색(투명)생수·음료 PET병
  •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부착상표(라벨) 등을 제거한 후 가능한 압착하여 뚜껑을 닫아 배출
기타 플라스틱류
  • PET, PE, PP, PS, PSP 재질 등의 용기·트레이류
  • 이물질·물기 제거 후 본체와 다른 재질은 제거한 후 배출
비닐류·유리병·금속캔류
  •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구는 등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출
전지류
  • 전지를 제품에서 분리하여 배출
  • 주요 거점에 비치된 수거함에 배출 또는 지정된 전지류 수거일·장소에 배출
폐식용유
  • 이물질이 섞이지 않게 모아 지자체 또는 민간 재활용사업자가 마련한 수거장소, 전용 수거함 등에 배출
※ 단, 지역별 구체적인 분리배출 품목 및 배출 방법은 해당 지자체 조례로 규정
※ 재활용품으로 오해하기 쉬운 품목은 지자체 조례에 따라 종량제봉투 등에 담아 배출
안내서 보기

경제발전과 생활 편의성 추구로 인해 지속적으로 1회용품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1회용품 제작 과정에서 자원 낭비, 폐기물 처리를 위한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2t
※ 연간 종이컵 5개/일 사용 줄이기로 가정
실천방법
  • 사내 1회용품 줄이기 지침 운영하기
    • ‘공공기관 1회용품 등 사용 줄이기 실천지침’ 참고
  • 회의·행사 운영 시 1회용품 사용 자제하기
  • 다회용 컵·우산 빗물 제거기 등 이용 장려하기
안내서 보기

종이 타월은 생산 과정에서 상당량의 나무를 베어야 하며, 표백 처리 과정에서 나온 폐수는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범이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t
※ 연간 손 씻기 10회/일로 가정, 종이 타월 5회/일 , 핸드 드라이어 5회/일 사용 및 종이 타월 1장/회 사용으로 가정
실천방법
  • 손을 씻은 후 물기를 털어내고, 개인 손수건 사용하기
안내서 보기

일반 종이 1t 생산 시 나무가 24그루가 필요하며, 우리나라 한 해 종이 소비량은 990만t이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5t
※ 종이 사용 절감률 50%로 가정
실천방법
  • 사무실에 이면지 정리함을 마련하고, 이면지 사용하기
  • 인쇄 시 양면인쇄, 모아찍기, 흑백인쇄 등의 기능 설정하기
  • 문서를 출력하면 잉크가 번져 글꼴의 구멍이 채워지는 에코폰트 사용하기
안내서 보기

종이 없는 회의는 종이 절약, 문서 출력 시간 감소, 자료 보안·관리 유용 등의 효과가 있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5t
※ 하루 평균 직장인 회의 1.37회 및 A4용지 10장/회의 사용 가정
실천방법
  • 회의자료를 전자문서로 배포하기
  • 공용 전자기기(태블릿 등)를 비치하고, 관리하기
안내서 보기

종이 영수증·청구서는 주로 한 번 확인하고 버려지지만, 제작부터 폐기되는 과정에서 자원 낭비, 폐기물 처리 부담, 개인정보 유출, 온실가스 배출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02t
※ 연간 종이 청구서 3장/월, 종이 영수증 1장/일을 전자 청구서 또는 전자 영수증으로 받기 가정
실천방법
  • 임직원 대상 전자 영수증·청구서 발급 서비스 이용 장려하기
  • 대형마트, 백화점에서 공용 물품 구매 후 전용 앱으로 전자 영수증 받기
  • 불필요한 종이 영수증·청구서 받지 않기
  • 전자 영수증 발급받고, 탄소중립포인트 적립받기
안내서 보기

폐기물을 재활용하지 않으면 처리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며, 매립·소각 과정 중에 온실가스가 다량 배출되므로 생활 속에서부터 분리배출을 올바르게 해야 한다.

실천효과
🌎 우리 기업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0.6t
※ 연간 500ml PET병 109개/인 사용 줄이기로 가정
실천방법
  • 사내 분리배출 시스템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 임직원 대상으로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홍보하기
  • 재활용품별 분리배출 방법에 따라 올바르게 분리배출하기
재활용품별 분리배출 방법 골판지상자
  • 택배송장, 테이프, 알루미늄박, 철핀 등 다른 재질을 제거한 후 접어서 배출
종이팩
  •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구는 등 이물질을 제거하고 말린 후 배출
  • 종이팩과 다른 재질은 제거한 후 배출
무색(투명)생수·음료 PET병
  •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부착상표(라벨) 등을 제거한 후 가능한 압착하여 뚜껑을 닫아 배출
기타 플라스틱류
  • PET, PE, PP, PS, PSP 재질 등의 용기·트레이류
  • 이물질·물기 제거 후 본체와 다른 재질은 제거한 후 배출
비닐류·유리병·금속캔류
  •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구는 등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출
전지류
  • 전지를 제품에서 분리하여 배출
  • 주요 거점에 비치된 수거함에 배출 또는 지정된 전지류 수거일·장소에 배출
폐식용유
  • 이물질이 섞이지 않게 모아 지자체 또는 민간 재활용사업자가 마련한 수거장소, 전용 수거함 등에 배출
※ 단, 지역별 구체적인 분리배출 품목 및 배출 방법은 해당 지자체 조례로 규정
※ 재활용품으로 오해하기 쉬운 품목은 지자체 조례에 따라 종량제봉투 등에 담아 배출
안내서 보기

탄소흡수원은 산림지, 농경지, 초지, 습지, 정주지 및 바다숲 등에서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으로 탄소를 저장 및 흡수하는 입목, 고사유기물, 토양, 목제품 및 산림바이오매스 에너지 등을 지칭하며, 대기 중 온실가스를 줄이고 지구온난화를 억제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실천방법
  • 산불 예방, 삼림 훼손 방지로 산림 보호하기
  • 탄소흡수원과 관련된 행사 동참하기
탄소흡수원 관련 기념일
  • 습지의 날 (2월 2일)
    • 1971년 2월 2일, 이란 람사르에서는 지구적 차원의 습지 보호를 위해 람사르 협약을 성립했다. 람사르 협약은 습지의 보호와 지속 가능한 이용에 관한 국제협약이다. 이후 매년 2월 2일을 내륙 습지와 갯벌을 보호하는 날로 지정하였다.
  • 식목일 (4월 5일)
    • 국민 식수에 의한 애림 의식을 높이고, 산지의 자원화를 위해 제정한 기념일로, 해마다 4월 5일이며, 법정공휴일이었으나 2006년부터 기념일로 변경되어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 식목일을 4월 5일로 정한 것은 24절기의 하나인 청명 무렵이 나무심기에 적합하다는 이유도 있지만, 신라가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날(음력 2월 25일)이자 조선 성종이 동대문 밖 선농단에서 직접 밭을 일군 날(1343년)이 바로 이날이라는 것도 무관하지 않다.
  • 바다식목일 (5월 10일)
    • 바다식목일은 바다에 해조류를 심어 훼손된 연안생태계를 복원하고 바닷속 생태계 보호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2012년 지정된 법정 기념일이다.
  • 산의 날 (10월 18일)
    • 산의 날은 국제연합에서 2002년을 세계 산의 해로 선언하자 산림청이 산림에 대한 국민의 의식을 제고하고자 2002년부터 매년 10월 18일을 기념일로 정하였다. 10월 중의 하루를 산의 날로 지정한 이유는 선조들이 1년 중 산이 가장 아름다운 때인 10월에 높은 곳에 올라 풍류를 즐기던 세시풍속의 하나인 등고(음력 9월 9일)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 토양의 날 (12월 5일)
    • 자원으로서의 토양의 가치를 알리고 토양 보존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한 <세계 토양의 날>은 2012년 6월에 열린 제144차 FAO 이사회에서 ‘세계 토양의 날’과 ‘세계 토양의 해’ 지정이 제안되어 일년 뒤 2013년 6월, 제38차 FAO 총회에서 승인되었다. 이후, 2013년 11월 제68차 UN 정기총회에서 매년 12월 5일을 <세계 토양의 날>로, 2015년을 ‘세계 토양의 해’로 정할 것을 선포하였다.
안내서 보기

최근 10년간 산림면적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어 생활 속에서 적극적인 나무심기를 실천할 필요가 있다.

실천방법
  • 정부, 지자체, 기업, 단체 등이 주최하는 식목행사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기
  • 출생, 결혼, 승진, 창업 등 기념일에 나무를 심어 의미있는 기념일 만들기
안내서 보기

탄소흡수원은 산림지, 농경지, 초지, 습지, 정주지 및 바다숲 등에서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으로 탄소를 저장 및 흡수하는 입목, 고사유기물, 토양, 목제품 및 산림바이오매스 에너지 등을 지칭하며, 대기 중 온실가스를 줄이고 지구온난화를 억제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실천방법
  • 산불 예방, 삼림 훼손 방지로 산림 보호하기
  • 탄소흡수원과 관련된 행사 동참하기
안내서 보기

최근 10년간 산림면적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어 생활 속에서 적극적인 나무심기를 실천할 필요가 있다.

실천방법
  • 교내에서 학생·교직원이 함께 나무 심고 가꾸기
  • 정부, 지자체, 기업, 단체 등이 주최하는 식목행사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기
  • 학교 기념일에 나무를 심어 의미있는 기념일 만들기
안내서 보기

탄소흡수원은 산림지, 농경지, 초지, 습지, 정주지 및 바다숲 등에서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으로 탄소를 저장 및 흡수하는 입목, 고사유기물, 토양, 목제품 및 산림바이오매스 에너지 등을 지칭하며, 대기 중 온실가스를 줄이고 지구온난화를 억제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실천방법
  • 산불 예방, 삼림 훼손 방지로 산림 보호하기
  • 탄소흡수원과 관련된 행사 동참하기
탄소흡수원 관련 기념일
  • 습지의 날 (2월 2일)
    • 1971년 2월 2일, 이란 람사르에서는 지구적 차원의 습지 보호를 위해 람사르 협약을 성립했다. 람사르 협약은 습지의 보호와 지속 가능한 이용에 관한 국제협약이다. 이후 매년 2월 2일을 내륙 습지와 갯벌을 보호하는 날로 지정하였다.
  • 식목일 (4월 5일)
    • 국민 식수에 의한 애림 의식을 높이고, 산지의 자원화를 위해 제정한 기념일로, 해마다 4월 5일이며, 법정공휴일이었으나 2006년부터 기념일로 변경되어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 식목일을 4월 5일로 정한 것은 24절기의 하나인 청명 무렵이 나무심기에 적합하다는 이유도 있지만, 신라가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날(음력 2월 25일)이자 조선 성종이 동대문 밖 선농단에서 직접 밭을 일군 날(1343년)이 바로 이날이라는 것도 무관하지 않다.
  • 바다식목일 (5월 10일)
    • 바다식목일은 바다에 해조류를 심어 훼손된 연안생태계를 복원하고 바닷속 생태계 보호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2012년 지정된 법정 기념일이다.
  • 산의 날 (10월 18일)
    • 산의 날은 국제연합에서 2002년을 세계 산의 해로 선언하자 산림청이 산림에 대한 국민의 의식을 제고하고자 2002년부터 매년 10월 18일을 기념일로 정하였다. 10월 중의 하루를 산의 날로 지정한 이유는 선조들이 1년 중 산이 가장 아름다운 때인 10월에 높은 곳에 올라 풍류를 즐기던 세시풍속의 하나인 등고(음력 9월 9일)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 토양의 날 (12월 5일)
    • 자원으로서의 토양의 가치를 알리고 토양 보존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한 <세계 토양의 날>은 2012년 6월에 열린 제144차 FAO 이사회에서 ‘세계 토양의 날’과 ‘세계 토양의 해’ 지정이 제안되어 일년 뒤 2013년 6월, 제38차 FAO 총회에서 승인되었다. 이후, 2013년 11월 제68차 UN 정기총회에서 매년 12월 5일을 <세계 토양의 날>로, 2015년을 ‘세계 토양의 해’로 정할 것을 선포하였다.
안내서 보기

산림은 ESG 중 환경(E)·사회(S) 부문에 기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수단으로서 최근 기업의 산림 분야 참여가 활발해지고 있다.

실천방법
  • 기업, 민간 단체, 지자체 등 다양한 기관이 함께 협력하여 탄소중립 숲 조성하기
  • 산불피해지 복원, 생물다양성 등 산림 분야 활동에 참여하기
안내서 보기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배너가 없습니다.